전체 보기 (223) 썸네일형 리스트형 2019-04-10 1.HTML에 새롭게 추가된 신규요소가 아닌것 2.시간이나 날짜등을 의미하는 요소 3.섹션의 제목을 나타내며 문서의 아웃라인을 고려해서 사용해야하는 콘텐츠 모델 4.transform 속성으로 지정할 수 없는 값 5. 웹폰트를 사용하기 위한 선언 6.border-box를 지정할 경우 박스의 실제크기는 ? 7.다중 배경 이미지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것 8플랙스 박스로 지정된 요소박스의 배치 순서를 지정할 떄 사용할 수 있는속성 2019-04-09 display:flex에 관하여flex는 사용한곳의 바로 자식 영역의 내용들을 기본값 row로 flex시킨다 이것을 몰라서 nav영역에 flex를 주었기 때문에 li들이 정렬이 되지않은 것이고, .mainmenu에 줬으면 제대로 동작했을 것이다. 2019-04-09 마크업따로 / 디자인따로/ 동작따로구조와 / 표현과 / 동작의 분리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defer / asynchttps://blog.asamaru.net/2017/05/04/script-async-defer/js key codehttps://keycode.info/이게 인터렉션 디자인이구나아리아https://github.com/niawa 2019-04-08 리눅스 역사 : 데니스 리치 & 켐 톤슨 UNIX -> C -> C기반으로 재작성 CLI공포를 극복하고, SHELL과 친구가 된다 (Command line interface GUI(?) 리눅스 shell 커멘드 학습 및 활용 vim텍스트 에디터 파일작성, 매크로 만들기: vi 호환 텍스트 편집기(?) git 이해, git과 github가 다름인지 branch version1과 version2를 묶어서 기본은 master 내컴퓨터에 있는것을 '로컬 branch' 외부의 것을 리모트 branch tag 특벙 버전 위치를 나중에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이름을 지정 해놓은것 merge 1)여러 개발자들의 버전 합치기, 서로 다른 branch하나로 합치는 과정 rebase git 과거 이력 편집 목적 git: 버.. 2019-04-08 오늘의 배운내용은 term, 섹션과 search섹션 term섹션에서 핵심으로 바란다고 생각하는것은 dl을찾아봤느냐, float처리에 대한 이해라고 생각한다 float로 하라고 조건을 달아주셨고 일단 컨텐츠들을 리스트라고 생각해서 ul에 담았는데 생각없이 ul태그에 넣는게 아니라 찾아봐서 dl (definistion list)를 찾길 바라신것같고 dl태그 내부에는 dt와 dd를 가지고 (제목과 내용)이다 오늘로써 리스트에 ul,ol,dl 까지 배운것 같다 컨텐츠들을 float함에 있어, div영역안에 모든 컨텐츠들을 float처리하게되면, 붕뜨는 효과로 인해 div영역의 height를 잃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div에 clear:both처리할 수 있는지를 물으셨다고 생각한다 다음으로 search섹션을.. 2019-04-08 HTML5의 서식 엄격형 (Strict DTD) 꾸미기 태그 허용 안함 ex) center, hr, font 호환형 Transitional DTD 과도기형 Frameset DTD a target=_blank (새창으로 열기) 파비콘 2019-04-07 web server(맥도날드 점원) ㅡ> web application (햄버거 만드는 크루) web bronser(main web application) IE,CHROME, FF,SAFAFI, 오페라 라이브러리,모듈 ㅇ요리할때 쓰는 맛간장, 굴소스 ( 만드는 요리에 첨가하는 도구 ) 프레임워크는 같은 도구지만 툴을 따라야함 ( 일부 VS 전체) 프레임워크만으로 프로그램을 짤 수 있으나 라이브러리 만으론 완성된 프로그램 작성X 브라우저는 어떻게 동작하는가 ? https://d2.naver.com/helloworld/59361 선택자를 잘못선택하고, 전체 레이아웃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삽질했다 2019-04-07 HTML현재 5.2버젼, 5.3버전 개발중 태그가 너무 많거나 (옵션) 코드 길이가 길어서 알아보기 힘들때는, 닫는 태그로 구분하면 된다. 옵션은 첫번째 띄어쓰기가 나오기 전까지 읽으면 된다 헤드 띄어쓰기 가장 첫줄의 은 html5라는 것을 인식해주는 것이다. -> 제거하면 각 브라우저마다 과거 버전으로 읽을 수도 있다. 형식을 가지고 문서를 만드는 이유가 무엇일까? 누군가가 해석하기 쉽기 위해서(?) 모니터에 붙어있는 암호의 예 ->html은 탭바에 나오고 body는 사용자에게 출력된다(검색 엔진을 적용 시킬 수 있는 역할) SEO:검색 엔진 최적화는 사용자에게 검색을 최적화 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 요소(Element): HTML은 요소로 구성되어있는 요소는 태그로 구성된다 모든 태그는 containe.. 이전 1 ··· 23 24 25 26 27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