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보기

(223)
TIL:애니메이션 기법배우기 2019-04-14 CSS를 활용한 다양한 애니메이션 기법을 학습한다. 세부내용 - transform - transition - animation - animation - @keyframes 와 애니메이션 소개 - transition VS animation - transform 속성을 활용한 다양한 효과
실수, 부동소수점, 배정도 부동 소수점 이란? 컴퓨터가 실수를 표현하는 방법 (.이 부표처럼 앞뒤로 이동한다고 해서 부동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반대는 고정소수점입니다. ) 또한, 부동소수점에는 단정도 부동소수점, 배정도 부동소수점 두가지로 나뉩니다. 단정도는 실수를 32bit(4byte) , 부호1bit 지수부8bit 가수부23bit 배정도는 실수를 64bit(8byte) , 부호1bit,지수부11bit,가수부52bit 파이썬 ,자바 스크립트는 배정도 사용 정규화란 소수점 왼쪽에 위치한 가수부분을 밑수보다 작은 자연수가 되도록 만들기 10진수 567.89 = 5.6789x10^2 2진수의 밑수는 2이므로, 111.11 = 1.111x2^2 1.1111x2^2 , 부호 0 지수부 1001 가수부 1111 근데 가수부는 3비트만 ..
TIL:최신 웹 브라우저를 위한 모던 레이아웃 기법 2019-04-13 세부내용 - flex container - flex items - flex 관련 속성 - order 속성을 활용한 유연한 레이아웃 실습 - flex-direction 속성의 값에 따른 요소 박스 배치 - 게임으로 배우는 flex
오늘 배운 것 자세히 2019-04-12 객체는 여러가지 얼굴이 있는데, 첫번째 인상은 '서로 연관된 변수와 함수를 그룹핑하고 이름을 붙인 것' oop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오브젝트 오리엔티드 프로그래밍) 기능별로 그룹핑 댓글목록은 꼭 특정사이트가 아니여도 가져다 쓸 수 있다 재활용성 (객체가 기여하는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교육은 크게 2가지 1.문법.2설계 함수와 메소드의 차이는 메소드는 객체 안에 삽입된 함수
TIL: FLOAT,POSITION 2019-04-12 구형 웹브라우저(IE8)에서도 동작하는 전통적인 레이아웃 기법을 학습한다. float position background 관련 속성 Normal Flow를 벗어나 요소 배치하기 clear 속성의 동작원리 파악(강제 margin 추가) gradient 효과"
2019-04-11 news파트 1.헤더와 타임을 나누려는 생각을 하지 않았다. 2.fifure태그 ( 새로운것)을 찾으려고 하지 않았다. (단어뜻 그림 의미 : 형태 또는 뜻) 주 문서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다른 부분이나 부록으로 옮길 수 있는, 주 문서에서 참조하는 이미지나 삽화, 도표, 코드 조각 등입니다. 기본:block; 3.가상요소에 대한 내용 (꾀 나왔는데 아직도 개념x) 가상클래스(Pseudo-Class)는,별도의 class를 지정하지 않아도 지정한 것 처럼요소를 선택할 수 있음 ::before 요소의 콘텐츠 시작부분에 생성된 콘텐츠를 추가 4.인라인블록에 패딩줄때 문제가 생길 수 있다(?) display:block하고 패딩주기 5.h2안에 p가 들어가면 문법오류 (몇번을 하는거냐 기억좀해라) 6.디자인적인..
2019-04-11 figure 태그 주 문서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다른 부분이나 부록으로 옮길 수 있는, 주 문서에서 참조하는 이미지나 삽화, 도표, 코드 조각 등 기본:block; 앞으로 width 50% , wrap (겹치는거 허용) 트랜스폼, 트랜지션 배울 예정
2019-04-10 HTML5에 새롭게 추가된 신규요소중 일부 time태그란? http://parkjuwan.dothome.co.kr/wordpress/2017/03/20/html-time-tag/ HTML5에서 추가된 유용한 태그 – Juwan Park 이 포스트는 HTML5에서 추가된 time … /time 태그에 관한 내용입니다. time 태그는 ‘HTML 문서에는 의미적인 기능을 부여한다’는 W3C의 기조를 반영하기 위해 HTML5에서 추가된 태그 중 하나입니다. 이 태그의 용도는 문서 내용 안에 어떤 날짜나 시간을 나타내는 표현이 있을 때 그 부분에 사용하여 알맞은 날짜나 시간을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게 의미적으로 나타내는 데 사용합니다. 이 태그의 사용법은 time datetime="날짜/시간" parkjuw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