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TIL

네트워크, 퀵소트, isertion, selection

목차

ㅡ네트워크

ㅡ퀵소트 random pivot , O(nlogn) - 다른알고리즘은 최악을 고려하는데 퀵소트는 평균

ㅡ insertion, selection sort

ㅡ merge sort

이후 ㅡ연결리스트 (배열과 연결리스트의 차이) 스택,큐(스택2개로 큐 구현하기), Tree(순회-전위,중위-스택계열,후위 레벨순서-큐 계열)

nat : ip 라우팅

TCP/IP 4계층

application 1.htpp 2http 3ftp 4smtp 5dns

http: 메시지기반 프로토콜 ->''문자열''이다 쓰고 주고받고

Translate( 포트, 전송계층) 특정 process

INTERNET (IP ROUNTING) 특정 호스트

--------ARP(IP - > MAC)

NETWORK INTERFACE(ETHERNET) mac address

mac/ip/port/data/port/ip/mac

인터넷 계층(tcp/ip 2층)에서 제일중요한 프로토콜 IP , 이친구의 목적은 IP 라우팅

Ip는 언제 필요할까? 내가, 데이터를 보내고자 하는 (최종)상대 호스트(=컴퓨터)를 '특정'한다.

<-> 이더넷은 LAN에서만 사용가능 (지역)

nat, napt 개념 (변환 테이블을 만들어서 바꿔서 쓴다)

port번호 2^16개까지 가능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서버 vs 클라이언트

서버: 특정 컴퓨터의 특정 프로세스(소켓이 들어있음) 특징 : 소켓이 많다

->대표 소켓:리스닝 소켓

->웹서버, 게임서버,ftp 서버,

클라이언트: 프로세스 소켓1개 서버한테 데이터를 요청하고 받을뿐

port : socket에 부여된 숫자

소켓의 종류 두가지 1)리스닝 소켓 listening socket2)데이터소켓 data socket

listening socket(접속 요청을 하는데 필요한 소켓) - 부여된 번호는 서버의 역할에 따라 달라짐 well-known

data socket은(접속한 후에, 사용)

tcp vs udp

tcp: 1.신뢰도 ↑ 2패킷 유실 - > 재전송 3부담된다 http, ip, 파일, 메일

연결 지향성

udp:1.신뢰도↓ 2.패킷전송후"나는몰라"재전송x 3.빠르다 "동영상,게임" ,유투브 -> udp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DNS (사람이 읽기 쉽게) nslookup -cmd

name server 에서 찾아보겠다

도메인 주소를 ip주소로 바꿔주는 역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http://<user>:<passwor>@<host>:<port><urlpath>?<query>#<bookmark>

키값과 벨류값으로 묶인 ?뒤에것들을 query라고함

상태 코드

1XX – 정보 제공 메시지 :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

2XX – 성공 : 서버가 메소드를 받아 수행했다

3XX – 리다이렉션 : 자원이 여러 종류가 있다거나 새로운 URL로 이동하는 등 추가 행동이 필요

4XX – 클라이언트 에러 : 요청이 잘못되었거나 자원을 찾을 수 없다 (클라잘못)

  1. 5XX – 서버 에러 : 요청은 유효하나 수행 방법을 모르거나 서버 문제로 처리 불가 (서버잘못)

컨텐트 협상:

ex)Accept : text/html, text/*;q=0.5, */*;q=0.2 Accept-Language : kr;q=0.7, fr;q=0, en;q=0.4

점심시간, 공부중 밥좀사오라 시킴 메뉴품절

clinet (나) server(식당)

서버주도 : 짬뽕이랑 비슷한거 비스무리하게 결정해서 가져옴

클라이언트: 짬뽕없다고 전화옴 (전화비듬)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퀵소트 (노트)

랜덤피봇이란, 피봇값이 첫번째값인경우 최악의 경우O(n^2)이 되기 때문에, pivot값과 리스트[0]번의 값과 리스트[last]값과 비교해서 pivot이 편향적이지 않게 만듬 - > 최악의 경우를 벗어난다 n log n에 가깝게 되더라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insertion[삽입정렬]

li[0]는 정렬됬다고 가정.

ㅁ|ㅁㅁㅁㅁㅁㅁㅁㅁㅁ

↑li[1]부터시작

r=range(1,10,2) 1,3,5,7,9

5,4,3,2,1

selection

머지소트

ㅁㅁㅁㅁㅁㅁㅁㅁ

ㅁㅁㅁㅁ | ㅁㅁㅁㅁ

ㅁㅁ|ㅁㅁ | ㅁㅁ | ㅁㅁ

ㅁ|ㅁ|ㅁ|ㅁ|ㅁ|ㅁ|ㅁ|ㅁ

반응형

'공부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값,  (0) 2019.04.28
머지소트,스택,큐,연결리스트  (0) 2019.04.26
클래스, 버블소트 , 네트워크  (0) 2019.04.24
프로세스VS스레드  (0) 2019.04.23
함수  (0) 2019.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