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TIL

2019-04-07

HTML현재 5.2버젼, 5.3버전 개발중

 

태그가 너무 많거나 (옵션) 코드 길이가 길어서 알아보기 힘들때는, 닫는 태그로 구분하면 된다.

 

옵션은 첫번째 띄어쓰기가 나오기 전까지 읽으면 된다 <head id=""> 헤드 띄어쓰기

 

가장 첫줄의 <!DOCTYPE html>은 html5라는 것을 인식해주는 것이다. -> 제거하면 각 브라우저마다 과거 버전으로 읽을 수도 있다.

 

형식을 가지고 문서를 만드는 이유가 무엇일까? 누군가가 해석하기 쉽기 위해서(?) 모니터에 붙어있는 암호의 예

 

->html은 탭바에 나오고 body는 사용자에게 출력된다(검색 엔진을 적용 시킬 수 있는 역할)

 

SEO:검색 엔진 최적화는 사용자에게 검색을 최적화 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

 

요소(Element): HTML은 요소로 구성되어있는 요소는 태그로 구성된다 

 

모든 태그는 container, empty로 나뉜다(짝태그 ,홀태그)

ex) <body>안에 내용</body> <img sre=""> empty태그 홀태그

 

시맨틱웹: 일반적인 html5로 작성한 웹은 메타데이터가 아니다 시각정보 언어이다 예를들어 <사과><빨간색>을 적어도 컴퓨터는 둘의 관계를 이해하지 못한다. 그냥 사과와 빨간색을 출력할뿐, 반해 시맨틱 웹은 사과 색= 빨간색을

기입하면 사과가 빨간색을 가지고 있다고 이해한다. 의미정보인 온톨로지를 표현하는 것.

 

dom 객체 제어(DOM : document object model) 문서 객체 모델 :

문서 객체란, <html>이나 <body>같은 html 문서의 태그들을 javascript가 이용할 수 있는 객체로 만들면 문서 객체 모듈

 

넓은 의미로 웹 브라우저가 html을 인식하는 방식 좁은 의미로 document 객체와 관련된 객체의 집함

dom은 트리구조

 

html: 전자 문서 생성 가능 보기 , 주고받기 가능

css: 웹 페이지를 아릅답게 만들기

등장 : <font>태그 등으로 html에 추가하는 것에 한계를 느낌

 

<h1>제목이다<a href=""링크다<font>web</font></a></h1>

 

web은 a(링크이며) h1(제목이다)라는 정보 font는 web에 대해 아무 정보도 없고 시각 장애인이 보기에 의미가 없는 것은 정보가 아니라 할  수 있다 -> 정보의 가치 하락

 

html의 문법으로, <style=html 태그이며, css의 언어에 맞게 처리해라)

 

그전에 작성했던 것은 html의 태그 였고, css의 문법이다(새로 공부해야되고 컴퓨터한테 이해시켜야하지만 엄청나게=폭발적이게 효율적이기 떄문에 사용된다)

 

 

 

 

 

반응형

'공부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04-08  (0) 2019.04.08
2019-04-08  (0) 2019.04.08
2019-04-06  (0) 2019.04.06
2019-04-05  (0) 2019.04.05
2019-04-04  (0) 2019.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