렉시컬 스코프란, 다른 말로는 정적스코프라고 생각하며 함수기준 선언된 위치에 따라 상위 스코프를 결정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스코프란, 식별자를 구분하는 규칙, 식별자의 유효범위 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전역변수의 문제점은 ,긴생명주기, 암묵적결합, 스코프체인상 종점에 위치,네임스페이스 오염이 있습니다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의 문제점은 변수의 중복허용, 함수레벨 스코프, 변수 호이스팅
construcotr function이란 객체를 생성할때 안에 변수나 프로퍼티를 초기화하는것 / 함수는 재사용,유지보수,가독성을 위해 묶어놓은 코드조각
객체를 생성할떄 변수나 프로퍼티를 초기화하여 재사용,유지보수 가독성을 좋게만든 코드조각
data type 데이터의 종류
literral 소스코드내에서 평가되어 값이 될 코드
표현식 하나의 값으로 평가될 '문'
원시타입 vs객체타입 자료형에서 변경불가능한 값과 , 변경 가능한값
함수 정의 함수란, 재사용,유지보수,가독성을 위해 묶어놓은 문들의 집합 , 코드조각
this는 객체 자신의 프로퍼티나 메소드를 참조하기 위한 자기 참조 변수(Self-referencing variable)
브라우저의 렌더링 엔진이 웹 문서를 로드한 후, 파싱하여 웹 문서를 브라우저가 이해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여 메모리에 적재한것
브라우저 동작, 유저 UI에 사용자가 입력을하면, 브라우저 엔진이 렌더링엔진과 통신을 해서 렌더링 엔진에서
DOM 렌더 트리를 그리기위해 HTML을 파싱해서 DOM트리를 그리고 CSS를 파싱해서 파서트리를 그리고
그것을 합쳐서 렌더트리를 그립니다
Event Delegation
먼저 이벤트란, 사건, 브라우저에서 사건이란 페이지가 로드되거나 버튼이 클릭되고 마우스가 호버되는 행위등을 말합니다
뒤에 딜리게이션은 위임, 다수의 자식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부모에게 핸들링하는 방식을 이벤트 위임이라하며
이것이 될 수 있는 이유는 이벤트의 흐름이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오는 흐름을 갖고 있기 떄문
Event cpaturing , Event Bubling
먼저 이벤트란 , 사건을 뜻하며, 브라우저에서 사건은 문서의 로드, 마우스의 클릭 ,키보드의 입력등 여러가지 이벤트를 말합니다. 이벤트가 발생했을때 발생한 흐름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부모에서부터 자식으로 내려가는데
이흐름의 방향을 캡처링과 버블링 이라고하며, 둘중 한가지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둘다 일어납니다.
위에서 내려가는것을 캡처링 올라오는것을 버블링이라고 하는데, 버블링이 이벤트 위임이 될 수 있는 이유가 되기도합니다.
class란 , 객체지향프로그래밍에서 특정객체의 변수와 메소드를 정의하기 위한 틀입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함수이며 문법적 설탕입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다른 클래스기반 언어와는 다르게
프로토타입 기반 객체지향언어여서 클래스없이도 상속,정보은닉들을 구현할 수 있지만
es6에서 추가된 것 뿐입니다.
super
수퍼를 말하기 위해선 클래스를 알아야하는데 ,클래스란 원래 oop 객체지향프로그래밍에서 객체의 변수나 메소드를 지정하여 찍어내기 위한 틀입니다. 다만 자바스크립트에서 클래스는 함수에 불과한 문법적 설탕이며
자바스크립트는 프로토타입 기반으로 객체지향프로그래밍의 상속과 정보은닉등 여러가지 특징을 구현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super는 부모클래스를 참조할때 또는 부모클래스의 consturctor를 호출할때 사용합니다.
super 메소드는 부모클래스의 consturctor를 호출하여 부모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
자식클래스의 consturctor에서 super를 호출하지 않으면, this가 에러가납니다.
프로토타입이란
자바스크립트는 객체 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자바스크립트를 이루고 있는 거의 “모든 것”이 객체이다
무엇인가의 부모가 되는 객체를 프로토타입이라고하며,
프로토타입은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지향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게해주는 근본이고
상속,정보은닉등을 할 수 있게해준다.
동기식 처리모델 비동기식 처리모델
동기식 처리모델은 직렬적으로 task를 수행하는 방식 ex) 커피숍에서 커피를 시키고 커피가 나올때까지 기달려야함
비동기식 처리모델은 병렬적으로 task를 수행하는 방식 ex) 커피숍에서 커피를 시키고 진동벨이 울리면 가지러옵니다.
'공부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몽고db ,sass (0) | 2019.06.04 |
---|---|
바벨,웹펙 (0) | 2019.06.03 |
Ajax,promise,async/await (0) | 2019.05.31 |
0530 러버덕 (0) | 2019.05.30 |
ajax,rest (0) | 2019.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