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TIL

자바스크립트, 동작원리

 

Node.js는 런타임 envirment ( 실행시킬 수 있는 환경)

web api (dom , event , event handler)

뭔가 쉬워지면 좋아할것이 아니다

10(메이저).12(마이너).6(패치)

패치:버그만잡은거

마이너:사용자는 x api기능상승

메이저:breakchange 일어날 가능성 있음 호환이 안될 수 있다

http 1.대와 2.대의차이

1점대 주소창에 엔터를 치면 서버를 찾아간다 (여러번 요청한다)

나는 통신을 ,https로 할것이며 www.naver.com으로 요청 할거야

뒤에 뭐가 없으면 메인 index.html을 보여줘

2점대 : 한번에 다준다 서버가 판단해서 여러개를 보낸다

parse : 사람이 보기 쉬운 소스코드를 브라우저가 이해할 수 있는 해석하는것

메타 데이터: 컴퓨터에게 주기 위한 데이터(대표 css)화면에 안보여지는거

헤드에서 유일한 보이는태그 :타이틀

selector{

룰셋

}

렌더링엔진: html 과 css를 파싱해서 사용자에게 보여줌

자바스크립트의 처리는 자바스크립트 엔진

CBD: 컴포넌트 베이스 디벨로프 ( react angular)

시간이 오래걸리는 시간은 서버 - 클라이언트 요청 / 응답 시간

그다음이 랜더 트리 페인트

ast 추상, 문법, 트리

문법은 문을 만들기 위해 있다

키워드 , 변수명(키워드,식별자) , 할당연산자 , 0 리터럴, 세미콜론

var a = 0;

변수 선언문

1변수2선언3문(노트)

파싱해서 html은 dom트리, css는 cssom트리, javascipt는 ast를 만든다

인터프리터는 : 런타임(실행할떄) 에러가난다, 그래서 함수 호이스팅이 있는거구나

console.log(x+1); .자체가 하나의 유의미한 토큰

console객체 . log( 프로퍼티)

함수호출()

x+1 argument(함수에 추가정보) 값이여야됨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자바스크립트에서 중요한것 세가지 변수,함수,객체

변수 :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이름(변수명)을 만들어서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에 붙인 이름 또는 메모리 공간자체

메모리와 연관지어서 기억

예약어스페이스식별자대입연산자

var a ;

evaluation (평가) = 코드를 값을 만들어낸다 실행(exectution) 값은 안만들수도있는데 뭔가를 함 1+2 평가 if(x>3){} 실행

변수명은 식별자다, 모든 식별자가 변수명은 아니다

자바스크립트의 함수는 값(객체)다

선언문 발라내고 (식별자) ,

var a;

a = 10

console.log(a)

표를 만들고 a |undefined(값)

정의와 선언의 구분: 선언(공표하다 알리드) , 식별자를 쓸꺼야 하고 식별자

관리자한테 알림

 

var:중복 선언 가능 var a =10; var a ;

let

const

제일좋은 수업 , 예습해오고 물어보는거에 대한 대답하기

변수,변수선언,할당,식별자,정의

반응형

'공부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수 ~ 연산자  (0) 2019.05.03
var, let, const의 차이는?  (0) 2019.05.02
자바스크립트와 ES의 차이  (0) 2019.04.30
2019-0429  (0) 2019.04.29
값,  (0) 2019.04.28